이글은 육아전문지 '앙쥬'에서 퍼온 글입니다.
'앙쥬'에 모든 권리가 있음을 밝힙니다.

---------------------------------------------------
초보 엄마들에게 가장 난감한 순간은 한밤중에 아기가 아파서 울 때다. 어딘가 안 좋은 것 같기는 한데 이유를 알 수 없어 지켜봐야 하는 상황인지, 아니면 들쳐업고 응급실로 뛰어가야 하는 상황인지 판단이 서지 않는다. 그래서 응급실에서는 별 이상이 없는 아기와 함께 달려온 엄마들의 해프닝이 끊이지 않는다는데…. 과연 아기에게 응급 상황이란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아보자.

잠자던 아기가 갑자기 운다. 안아보니 몸이 불덩이처럼 뜨겁다. 안색도 창백하고 호흡도 거칠어져 아기에게 금방이라도 무슨 일이 일어날 것만 같다. 이쯤 되면 엄마는 입이 바싹바싹 마르고 초조해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엄마는 침착한 태도로 아기의 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아기에게 어떤 증세가 나타나느냐에 따라 당장 응급실로 가야 하는지, 아니면 좀더 두고 봐도 되는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응급실을 찾는 원인 1순위 ‘고열’

24개월 이하의 아기인 경우 60% 이상이 열 때문에 응급실을 찾는다고 한다. 대부분의 소아 질환들이 열을 동반하기 때문인데, 보통 생후 3개월 미만의 아기에게는 항문으로 재는 직장온도가 38℃ 이상, 3개월 이상의 아기에서는 38.3℃ 이상일 때를 열이 있다고 보고, 입 체온은 37.8℃, 겨드랑이 체온은 37.2℃ 이상이면 열이 있다고 말한다.

아기가 열이 있을 때는 어떤 증상이 동반되는지를 주의 깊게 살피고, 먼저 열부터 내려야 한다. 아기의 옷을 벗기고 미지근한 물에 적신 수건(물이 뚝뚝 떨어질 정도)으로 15분 이상 온몸을 닦아주거나 처방받은 해열제가 있는 경우 용량을 지켜 먹인다. 대개의 경우 이렇게 하면 열이 떨어지는데, 만약 39℃ 이상의 고열이라면 여간해선 열이 내리지 않으므로 이럴 땐 한밤중이라도 응급실로 달려간다.

단, 3개월 미만의 신생아인 경우는 열이 나면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한다. 3개월에서 3살까지도 아기가 평소와 달리 축 늘어져 있거나 창백하고 보채는 증상을 동반하면 곧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세부적인 증상으로는 콧방울을 벌름거리거나 숨을 헐떡이고, 불러도 반응이 없고 경련을 일으키고, 반복해서 토하거나 설사를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아기가 열이 나더라도 잘 놀고 방실방실 웃는다면 급한 병은 아니므로 해열제를 먹이면서 경과를 지켜본 후 다음날 병원을 찾아도 괜찮다. 병원을 찾을 때는 아기가 열이 얼마나 오랫동안 났는지, 하루 중 언제 열이 나는지 등을 의사에게 알려주면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된다.

고열일 때 의심되는 질병_ 한밤중에 아기의 몸이 불덩이처럼 뜨거워진 경우 4명 중 1명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발열이며, 나머지 3명은 질환이 생겼다는 경보가 될 수 있다. 대부분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감기, 몸살, 인두염, 중이염, 기관지염, 폐렴, 모세기관지염 등)나 세균(박테리아 등)에 의해 감염되어 나타나고, 드물게 류머티즘 질환이나 종양 등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그 중 흔한 것이 감기, 편도선염, 인후염 같은 급성 상기도염을 앓는 경우다. 낮 동안 건강하게 잘 놀던 아기가 밤에 갑자기 높은 열이 나는 경우는 대개 급성상기도염일 때가 많으며, 열이 높은 데 비해 비교적 기분도 좋고 생기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생아기에는 담요 등으로 너무 꼭 싸주면 체온이 올라가기도 한다.

응급실에서 이뤄지는 처치_ 생후 3개월 미만의 신생아는 발열의 원인을 찾기 위해 피 검사, 소변 검사, 가슴 X-ray, 척수액 검사 등 모든 검사를 시행해야 하고, 세균성 질병이 확실한 경우에는 빨리 항생제를 투여한다. 생후 1개월 이후에도 역시 모든 검사를 다 받게 된다. 대개 응급실에서 검사하면 원인이 되는 질환을 알 수 있으므로 질환에 따라 입원할지, 응급실에서 몇 시간을 더 관찰할지, 귀가할지를 결정한다. 검사 결과가 정상으로 나오면 항생제 주사를 맞거나 경구용 약을 처방받은 후 귀가할 수 있다.

응급실을 찾는 원인 2순위 ‘복통’

아기의 복통은 증세가 복잡하여 판단하기가 어렵다. 더군다나 말을 못하는 아기의 경우 모든 것을 우는 것으로 표현하므로 배가 고파서 우는지, 어디가 아파서 우는지 여간해서 구별하기 힘들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복통 때문에 우는 울음은 평소와 다르다. 다리를 구부리거나 몸을 비틀며 불에 덴 듯이 울거나, 몸을 떨면서 울고 달래도 소용이 없다. 특히 배를 만지면 더욱 세차게 우는데, 이것이 복통의 결정적 단서가 된다.

아기가 배가 아픈 것이 확인됐다면 함부로 약을 먹이기보다는 즉시 응급실을 찾는 것이 좋다. 특히 혈변, 흑변이나 설사, 구토를 하면서 30분 이상 울음을 그치지 않거나, 안색이 창백하고 오른쪽 아랫배를 누르면 불에 덴 듯이 울 경우에는 서둘러 병원에 가야 한다.

복통일 때 의심되는 질병_ 건강한 아기인데도 저녁이나 한밤중에 이유 없이 발작적으로 우는 증상이 나타나고, 엄마가 젖을 물리거나 달래도 잘 멈추지 않다가 다음날 아침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말짱하게 잘 논다면 영아산통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에는 별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장중첩증은 서둘러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질병이다. 생후 5~9개월 때 많이 생기며, 아기가 갑자기 심한 복통으로 자지러지게 울며 얼굴이 창백해지는 증상을 보인다. 이러한 복통 발작이 10~15초간 계속된 후에 5~10분간은 지친 상태로 조용히 있다가 다시 통증이 발생한다. 초기에 구토를 보이다가 피가 섞인 설사를 하면 100% 장중첩증이라고 보면 된다. 장중첩증은 조기에 적절히 치료해 주지 않으면 고열, 탈수, 탈진 등의 증상이 생기고, 중첩된 장 부위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장중첩이 되었을 때는 한시라도 빨리 응급실을 찾는 것이 좋다.

이밖에 서둘러 응급실로 가야 하는 질병은 심한 구토와 열이 동반되는 급성맹장염과 급성췌장염, 심한 통증이 계속되어 괴로워서 울부짖으며 발에 보라색 반점이 나타나는 장성자반증이 있다.

응급실에서 이뤄지는 처치_ 복통의 특징 등의 정보, 진찰 소견 등을 종합하여 복통의 원인을 진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피 검사, 대소변 검사, 가슴이나 위장관 X-ray,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 등을 통해 복통의 원인을 진단할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아기가 복통 이외에 뭔가 다른 증세가 없었는지 엄마가 주의 깊게 관찰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배가 얼마 동안 아팠는지, 갑자기 또는 서서히 아프기 시작했는지, 음식물을 먹기 전부터 또는 먹는 중에 배가 아팠는지 아니면 먹고 난 후에 배가 아프기 시작했는지, 특정한 음식물만 먹으면 배가 아픈지, 띄엄띄엄 아픈지 또는 계속적으로 아픈지, 조금 아픈지 또는 심하게 아픈지, 다른 신체 부위는 아프지 않고 배만 아픈지, 아니면 배와 다른 신체 부위가 동시에 아픈지, 배가 아프면서 감기나 다른 종류의 호흡기 질환 등을 앓는지, 구토와 설사와 열이 함께 있으면서 배가 아픈지, 변비 증세와 함께 배가 아픈지, 소변을 자주 보면서 또는 소변을 볼 때 힘들고 아프면서 배가 아픈지, 복부에 타박상을 입은 후에 배가 아픈지 등을 의사가 알면 복통의 원인을 쉽게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좀더 빠른 조치가 가능하다.

응급실을 찾는 원인 3순위 ‘외상’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는 겨울철에는 집안에 있는 물건들이 흉기로 둔갑할 수 있다. 특히 막 기거나 걷기 시작한 아기들은 주변의 사물에 관심이 많고 호기심이 왕성해서 닥치는 대로 만지거나 입으로 가져가기 때문에 위험성이 더욱 증가한다.

아기들의 외상 중 가장 많이 응급실을 찾는 경우는 머리를 다쳤을 때. 아기가 울지도 움직이지도 않고 멍해져서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둔한 경우, 토하거나 토하려고 하고 얼굴을 찡그리며 울고 보채는 경우, 안색이 창백한 채 좀처럼 회복되지 않을 경우에는 뇌 손상이 의심되므로 즉각 병원에 가야 한다.

그 다음으로 아기들이 넘어지는 순간 가장 많이 다치는 부위가 손목, 팔꿈치, 발목 주위인데 이때 아기가 통증이 심해 울고 잘 움직이지 못하거나 다친 부위가 부어오르면 서둘러서 병원에 가는 것이 안전하다. 병원에 가기 전 통증과 부기를 가라앉혀주는 냉찜질을 해주고, 다친 곳을 주무르거나 바로잡으려고 하지 말고 부목을 대어 고정시킨다.

다쳐서 피가 나는 경우에는 상처의 상태가 어떤지 확인한다. 출혈이 좀처럼 멈추지 않거나 상처가 크고 피부가 찢어진 듯이 우툴두툴하고 상처가 작더라도 유리조각이나 금속조각에 찔린 경우에는 파상풍의 위험이 있으므로 서둘러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응급실에서 이뤄지는 처치_ 머리를 다쳤을 경우 아주 가벼운 손상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두부 손상은 전산화단층촬영(CT)으로 수술 여부를 정확히 판단한다. CT 촬영을 하는 것은 심각한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손목, 팔꿈치, 발목 부위가 골절됐을 경우에는 성장판을 다쳐 자라면서 심각한 성장 장애를 일으키거나 기형으로 발전할 수도 있으므로 검사 후 수술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 심한 출혈과 상처로 병원을 찾을 경우 우선적으로 지혈과 소독, 치료 등의 응급처치를 하게 되고, 놀이 중 다친 아기가 특정 부위의 통증을 계속 호소할 경우에는 X-ray를 촬영한 후 결과에 따라 전문적인 치료를 하게 된다.

그밖에 응급실로 가야 하는 경우들  

화상을 입었을 때_ 우리나라 화상 사고의 70~80%가 집안에서 일어나며, 특히 4살 이전 영아 피해자가 많다. 기어 다니는 아기는 전기밥솥에서 나오는 증기에 3도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잦고, 걸어 다니는 아기는 주로 주전자처럼 끓는 물에 덴다. 자칫 잘못해 화상을 입었을 땐 화상 입은 부위를 즉시 수돗물, 즉 흐르는 냉수에 30분 이상 담가 화상 부위를 식혀주는 것이 중요하다. 찬물은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조직이 계속 손상되는 것도 막아주는 최선의 치료법이다. 수돗물이 화상 부위를 오염시킨다고 생각해 처치를 하지 않고 응급실을 먼저 찾는 보호자가 많은데, 이 경우 병원에 오는 동안 화상 부위에서 각종 화학물질이 분비되면서 주변 조직으로 손상이 진행된다.

찬물로 식힌 후엔 아무것도 바르지 말고 깨끗한 타월로 화상 부위를 감싼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야 하는데, 이때도 얼음을 비닐에 넣어 화상 부위에 얹어두도록 한다. 단, 얼음이 화상 부위에 직접 닿으면 동상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된장, 간장을 바르는 민간요법은 물론 시중에서 파는 연고를 바르는 것도 금물이다. 이런 약은 화상 부위에 막을 씌워 병원 치료약의 침투를 방해한다. 집에서 흔히 발생하는 3도 화상은 피부 진피층이 손상된 것을 말하는데, 상처가 아문 뒤에도 그 부위가 오그라드는 장애가 생겨 피부 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사고 즉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이물질을 삼켰을 때_ 이물질을 먹거나 마신 것이 확인되면 곧바로 병원에 데려가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순식간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아기가 삼킨 것이 무엇인지, 양은 얼마나 되는지, 이물질이 독성이 있는 것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의식이 멍하며 불러도 반응이 둔하거나 안색이 창백하고 축 늘어져 있을 때, 숨쉬기가 아주 힘들거나 경련을 일으킬 때, 세제 등 토하게 해서는 안 될 이물질을 삼켰을 때는 급히 구급차를 불러야 한다. 또한 바나나, 찰떡 등과 같은 음식이 목에 걸렸을 때에도 물을 마시게 하면 음식물이 불어나 기도를 막을 위험이 있으므로 재빨리 가까운 병원에 데려가야 한다. 이때 아기가 먹은 것이 남아 있으면 병원에 갈 때 함께 가져가는 것이 좋으며, 병원에 가는 동안 따뜻하게 감싸서 아기의 체온이 떨어지지 않게 한다.

구토나 설사를 되풀이할 때_ 구토나 설사 증상 외에도 입술이 마르고 소변의 양이 줄어든다면 탈수 증상이 일어난 것이다. 어른과 달리 아기들은 구토나 설사로 많은 양의 수분을 몸 밖으로 배출하게 되면 수분을 보충하지 못해 탈수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또한 걸쭉한 죽 같은 혈변을 누며 몸을 비틀면서 심하게 울고 토하는 경우, 황색이나 녹색을 띤 담즙이나 혈액이 다소 섞인 것을 토하는 증상(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이 나타날 때도 급히 병원에 가야 한다.

두드러기가 났을 때_ 두드러기가 생기면 일단 최근에 먹은 음식이나 약을 잘 기록해야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 의심되는 것이 있으면 끊고, 두드러기가 심하면 옷을 약간 헐렁하게 입히며 안정을 취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많이 가려워할 때는 찬물 찜질을 해주거나 조그만 얼음으로 가려운 부위를 문질러주면 도움이 된다. 단, 찬 것에 닿아서 두드러기가 생기는 수도 있는데 그런 경우는 찬 것으로 문지르면 안 된다. 애완동물을 만지는 등의 접촉에 의해서 생긴 경우에는 비눗물로 닿은 부위를 잘 씻어주면 된다.

하지만 약을 먹은 뒤 두드러기가 생겼거나 자꾸 반복해서 생기거나 4시간이 지나도 가라앉지 않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만일 두드러기가 생긴 아기의 목소리가 변하거나 숨쉬기 힘들어하거나 음식을 삼키기 힘들어하면 바로 응급실로 가야 한다. 두드러기가 생긴 아기가 축 처져 있거나 복통을 호소하거나 고열이 나는 경우에도 곧바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경련을 일으킬 때_ 경련은 흔히 있는 증상이기는 하지만, 1~3분 정도면 가라앉는 경련이 5~10분간 계속되거나 짧은 시간 안에 몇 번을 연달아 경련을 일으키거나 고열을 동반할 때는 병원을 찾아야 한다. 만약 경련이 멎었다고 하더라도 구토 증상이 있거나 의식이 분명하지 않고 발작이 20분 이상 지속될 때는 가까운 소아과나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머리가 아플 때_ 두통이 생기면 무조건 쉬게 해야 한다. 편하게 눕히고 찬 물수건을 머리에 얹어주고 어깨도 좀 주물러준다. 아기가 좋아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도 좋다. 타이레놀이나 부루펜 같은 약을 사용하는 것도 두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영아에게는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아스피린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만일 두통이 있던 아기를 깨워도 잘 깨지 않거나 횡설수설하거나 엄마를 잘 몰라보면 바로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또한 고열이 나거나 심하게 토하거나 걷는 것이 이상하거나 목을 앞으로 굽히기 힘들어하는 등의 이상이 있다면 바로 의사에게 보인다.
혈변이 동반될 때_ 무조건 혈변이 있다고 아기가 위급한 상황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혈변과 함께 구토 및 심한 복통이 있는 경우, 구토나 설사를 되풀이하는 경우, 두통이나 현기증, 경련이 함께 오는 경우,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서둘러 병원을 찾아야 한다.

코피가 동반될 때_ 코피가 나는 것은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 있지만, 코피와 함께 다른 증상을 동반할 때는 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코피뿐만이 아니라 몸의 다른 부위에서도 출혈이 있을 때, 너무 많은 양의 코피를 흘릴 때, 얼굴이 창백해질 때, 의식이 흐려질 때, 다친 후 코피가 날 때, 코피가 멎지 않을 때 등이다. 코피가 날 때 고개를 젖히게 되면 코피가 기도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글_ 유진옥 기자 ●취재에 도움 주신 분_ 김우경(서울 백병원 소아과 교수) ●모델_ 김정민(8개월)

* itislord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5-04-24 14: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