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기사는 읽으실 때 혹시라도 단순히 천재소년이 국방의무를 다하기 위해 왔다는데 촛점을 두지 마시고 이 청년이 어떻게 천재로 대접받게 되었는가에 초점을 두고 읽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저희 큰애가 초등 1학년인데 공부를 봐주면서 느끼는게 자꾸만 단순하게 문제를 풀어서 좋은 점수 받는데만 초점을 두는게 아닌가 싶고, 이게 아닌데 하는 생각이 좀 들었던 차에 이 기사가 눈에 띄었습니다. "원리"를 안다는게 참으로 중요하다. 처음에 좀 점수를 낮게 받더라도 원리를 알아가도록 해주는게 중요하구나 하고 다시 한번 느끼게 해준 기사였습니다.

이 기사를 통해 자녀들에게 적용할 점을 찾아보시면 좋을 같습니다. 아주 유익한 기사라고 여겨집니다.


[조선일보   2007-11-27 07:44:56]
 

‘한국의 빌 게이츠’ 꿈꾸는 김지원씨 지난달부터 병역의무 MIT 학부·석사를 만점 학점으로 경악시키고 MS와 구글을 애태운뒤… 박사에도 줄까말까한 고액연봉 마다하고 귀국 “중학교땐 전교 60등… 과학고땐 전체 꼴찌도”

마 이크로소프트(MS)사의 창업자 빌 게이츠는 중학교 2학년 때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돈을 벌었다. 지난 2000년 서울의 한 소년도 같은 나이에 이미 회원 수 400명이 넘는 하이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동호회를 책임지고 있었다.

7년 후 그 소년은 미 MIT 사상 처음으로 학부·석사 과정을 모두 5.0 만점으로 졸업했다. 지난달 삼성종합기술원에 병역특례연구원으로 입사한 김지원(金智元·22)씨가 주인공. ‘한국의 빌 게이츠’를 꿈꾸던 소년은 이제 MS를 뛰어넘을 계획을 펼치기 시작했다.

김 지원씨는 서울과학고를 2년 만에 마치고 ‘삼성이건희장학생’ 1기로 MIT에 입학했다. 컴퓨터·수학 복수 전공으로 학부·석사를 각각 3년, 1년 만에 조기 졸업했다. 학부 졸업 후 미 최고 엘리트 사교 모임인 ‘파이 베타 카파 클럽(Phi Beta Kappa Society)’에도 뽑혔다. 그가 밝힌 성공 비결은 ‘좋아하는 일을 스스로 한 것’.

그는 지금도 MS나 구글의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그쪽에서 고액 연봉을 제시하는 등 스카우트에 적극 나선 상태지만 그는 거절했다. “MIT 재학 중 MS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원과 똑같은 대우를 받고 엑셀(Excel) 개발자로 일하기도 했어요.” 지난 9월 석사학위를 받은 후 구글·MS에서 박사학위자 이상에게도 줄까 말까 한 고액 연봉을 제의 받았지만 병역의무를 마치기 위해 귀국했다.

“구글이 가장 멋진 회사라고 생각해요. 사람들에게 도움되는 기술을 만들어냈잖아요. 저도 뭐든 그런 것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 는 화려한 미래를 위해 스스로 진군(進軍) 중이다. 자진 귀국한 것도 병역의무를 마쳐야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다고 판단한 때문. 아버지 김병주씨는 “구글을 뛰어넘을 몇 가지 구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귀띔했다. “석사 논문 주제인 ‘로봇’이 목표냐”고 묻자 “전공인 수학과 컴퓨터를 활용하면 할 만한 일은 무궁무진하다”고 했다.

스스로 어디까지 개척해 나갈지는 아무도 모른다. 삼성 주변에서는 어쩌면 MS나 구글을 넘어설지도 모른다고 얘기하는 이들도 있다. 그는 스스로 미래를 개척해 온 터라 미래 가능성 또한 크고 넓을 것이기 때문이다.

중 학교 1학년 때만 해도 성적이 전교 60등에 그쳤다. 강북에서 그 성적으로 과학고에 들어가리라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3학년 때 국제정보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따고는 이왕이면 좋아하는 컴퓨터를 계속 공부해보자고 과학고를 가기로 했어요.”

당 시 최연소 한국 대표에 대회 최연소 금메달리스트 기록을 세웠다. 당시 베이징(北京)대회에선 이전과 전혀 다른 형식의 문제가 나와 모두들 고전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가르쳐준 사람도 없었고, 늘 혼자 문제를 해결해왔기 때문에 어려운지도 몰랐다”고 했다.

“지 능이 평균 이상은 되겠지만 천재라고는 절대 생각지 않아요. 다른 점이라면 뭐든 스스로 답을 찾는 게 습관이 됐을 뿐이죠.” 그는 과학고 입학 후 첫 시험에서 전체 꼴찌를 했다. “그런데 반에서 1등 하던 강남 사는 친구에게 문제의 원리를 물었더니 ‘시험에 나오지 않는다’고 말해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어요. 늘 주어진 대로만 해오던 친구들이라 새로운 상황에선 헤매요.”

반 면 그는 “이런저런 연구를 하려면 어떤 강의를 들어야 할까”를 고민했다고 한다. 덕분에 1학년 때부터 미디어 랩 등 MIT의 여러 연구소에서 교수들과 함께 연구를 할 수 있었다. 젊은 영 파워의 미래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주목하는 이들이 너무나 많다.

[이영완 기자(글) ywlee@chosun.com ]

[전기병 기자(사진) gibong@chosun.com]

구글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일까.

MS? 웹 중립성 포기? 신생 업체들? 아이러니하지만 ‘큰 회사(big company)가 되는 것’이라고 한다. 조직이 비대해지면서 구글 내부에도 불필요한 관리 관계, 복잡한 업무과정 등 관료주의 문화가 자라게 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구글처럼 지금은 잘 나가는 사업을 보유한 기업이라도 내부의 관료주의를 변화시키지 않고 외부 변화를 맞닥뜨리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 1980년대 <포춘>지 선정한 500대 기업 중 20년이 지난 지금 약 3분의 1 이상이 해체되거나 합병되었는데, 톰 피터스를 비롯해 많은 전문가들은 ‘관료주의를 제대로 뿌리 뽑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더구나 변화가 느린 아날로그 시대와는 달리 디지털시대에서는 제품의 수명주기가 급격히 짧아지고 있다. 과정에 집착하고 위계질서로 옥죄어 있는 권위주의적인 조직 문화는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힘들다.

최근 경영 일선에 복귀한 델컴퓨터의 마이클 델 회장이 회사의 가장 큰 적으로 관료주의를 꼽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관료주의가 비용을 늘리고 속도를 더디게 해 지난해 컴퓨터 업계 1위 자리를 HP에게 넘겨줬다는 것이다.

보고하는데 시간을 써 성과가 나지 않는 것이나, 성과와 직결되지 않는 부수적인 일들을 과감히 뿌리 뽑아야 하다. 대신 수평적 조직과 권한 위임으로 실행의 속도를 높이고 성과주의를 통해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흔히 기업 관료주의를 잡초에 비유한다. 아무데서나 자라고 뿌리째 뽑지 않으면 다시 자라기 때문이다. 당신의 회사에는 잡초가 자라고 있지 않는가. 있다면 뿌리째 뽑을 의지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깊이 고민해라. 10년 뒤에 당신의 회사가 사라질지 모르니까.


㈜LG 부사장 고현진


정말 맞는거 같습니다. 제가 지금 다니는 직장에서도 조직이 커가면서 관료주의적 업무진행으로 인한 어려움이 조금씩 보이는것 같고, 경영진에서도 그런 부분을 생각하고는 있는듯 보입니다.

하지만 정말 확고한 경영마인드를 가지고 그 부분을 터치하지 않으면 그대로 굳어질 수 밖에 없는 부분인 것 같기도 합니다. 제가 다니는 조직에서도 경영진의 추진의지 내지는 지속적인 점검이나 개선 노력의 부족으로 그저 관행처럼 굳어져가는 모습을 보게됩니다.

이게 비단 조직의 문제만 아니라 어찌보면 개인에게도 적용되는 문제인것 같기도 합니다. 개인으로서도 시간이 가면서 초기의 열정과 노력, 과감한 추진력 등을 그대로 유지 발전시켜가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니까요. 저 역시도 여러가지 결심한 부분이 있고, 진행하고 있는 바가 있지만 꾸준히 해가기가 참 어려움을 느낍니다.

제 성격 때문에 그런 것도 있는것 같기도 하고....무언가 일을 시작한 후 그걸 몇일, 몇달, 몇년씩 계속 해나가는 비율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제 개인적인 발전에 있어서 아주 치명적인 약점인 셈입니다.
잘 개선하고 보완해야 할텐데 참 쉽지 않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