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1 : RPM 사용법 


# rpm -ivh source.rpm // source.rpm을 설치 

# rpm -Uvh source.rpm // source.rpm을 Upgrade 

# rpm -q source // source를 설치여부 확인 

# rpm -e source // source를 삭제 


참고 2 : Mount/unmount 사용법 

CD의 설치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 CD 장치를 마운트 시켜야한다. 사용 후에 다시 자치를 해제하는 것이 unmount 하는 것이다. 마운트하기 위해서 장치의 형식( type )을 알아야한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type은 다음과 같다. 


CD-ROM : iso9660 

A: : msdos 또는 vfat 

Hard Disk : ext2 


위의 3가지의 형식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형식의 명령을 사용한다. 


mount -t 형식 장치명 마운트위치 


위에서 장치명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3.5" 플로피 : /dev/fd0 

IDE 하드디스크 : /dev/hda, /dev/hdb 

CD-ROM : /dev/cdrom 또는 /dev/hdc 


그리고 마운트 위치는 장치에 대해서 접근할 수 있는 디렉토리 명칭이다. CD-ROM 드라이브를 /ycson 디렉토리에 마운트 시켜보자. 


# mkdir /ycson 

# mount -t iso9660 /dev/hdc /ycson 

# ls /ycson // CD-ROM의 정보가 확인된다. 


또는 A: 드라이브를 /a:에 마운트하려면 


# mkdir /a: 

# mount -t msdos /dev/fd0 /a: 

# ls /a: // A: 드라이브의 정보가 확인된다. 


다음과 같이 마운트 장치를 해제하고 확인할 수 있다. 


# umount /a: // A: 드라이브 언마운트 

# umount /ycson // CD-ROM 드라이브 언마운트 

# ls /ycson // 빈디렉토리 


리눅스에서는 이러한 자주 접근하는 장치 목록과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할 목록을 /etc/fstab에 기록하고 있다. CD-ROM, A: 드라이브 모두 저장매체의 형식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간략히 마운트/언마운트 할 수 있다. 


# mount /mnt/cdrom 

# mount /mnt/floppy 

# ls /mnt/cdrom // CD-ROM 드라이브의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참고 3 : 압축프로그램 사용법 

Unix/Linux/DOS에서 자주 사용되는 압축파일의 확장명과 연결 프로그램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Z // compress 를 사용하였다. 

$compress src // src.Z이라는 파일을 만든다. 

$uncompress src.Z // compress에 의해 압축된 프로그램을 푼다. 


.zip // zip/unzip을 사용하였다. 

$zip dest src // src를 압축하여 dest.zip이라는 파일을 만든다. 

$unzip -t dest.zip // dest.zip에 의해 압축된 프로그램을 본다. 

$unzip dest.zip // dest.zip에 의해 압축된 프로그램을 푼다. 


.gz // gzip에 의해서 압축하였을 때 생성되는 확장명이다. 

$gzip src // src.gz이라는 압축파일 생성 

$gzip -d src.gz // gzip에 의해 압축된 파일을 푼다. 

// gzip을 이용하면 원본 파일은 결과 파일만 남는다. 


.tar // tar에 의해서 압축된 파일이다. 

$tar cvf dest.tar source1 dir1 dir2 // source1 dir1 dir2을 묶어 dest.tar를 생성한다. 

$tar tvf dest.tar // dest.tar에 압축된 파일목록을 본다. 

$tar xvf dest.tar // dest.tar에 포함된 파일을 푼다. 


.tar.gz // tar + gz의 형식이다. 

$tar cvf dest.tar source1 dir1 dir2 // tar 파일 생성 

$gzip dest.tar // dest.tar.gz 파일 생성 

$gzip -d dest.tar.gz // dest.tar 생성 

$tar xvf dest.tar // dest에 포함된 파일을 풀어냄 


.tgz // tar + gz의 결합형 

$tar cvfz dest.tgz source1 dir1 dir2 // tgz 파일 생성 

$tar tvfz dest.tgz // dest.tgz에 포함된 내용물 보기 

$tar xvfz dest.tgz // dest.tgz 파일d에 포함된 내용을 풀어냄 

// tar.gz으로 압축된 경우는 tar [x|c|t]vfz에 의해 처리가 가능함 
1) 현재 ip-address 확인 방법

# ifconfig -a (모든 interface 확인)
# ifconfig eri0 (eri0 네트웍 카드만 확인 )
# man eri (eri 네트웍 카드를 알 수 있음.)

2) 현재 eri 네트웍 카드의 ip-address 변환 방법
# ifconfig eri0 inet 10.1.1.60

3) ethernet address 변환 방법
# ifconfig eri0 ether 0:3:ba:4e:3c:4c

4) netmask 변경
# ifconfig eri0 netmask 255.255.0.0 broadcast +

5) 네트웍 카드 enable /disable
# ifconfig eri0 down <== disable
# ifconfig eri0 up <== enable

6) 네트웍 카드 plumb /unplumb
# ifconfig eri0 unplumb <== 네트웍 카드 제거
# ifconfig eri0 plumb <== 네트웍 카드 설정

7) 네트웍 카드 초기화
# ifconfig eri0 plumb 203.234.247.60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 up

8) rebooting 후에도 계속 사용하고자 할 때 설정하는 파일
# vi /etc/hostname.eri0 <== 네트웍 카드 이름으로된 파일을 생성
203.234.247.60
또는
sun60

9) 만일 'sun60' 처럼 host이름으로 사용시 hosts 파일에 기록
# vi /etc/hosts
203.234.247.60 sun60

10) 가상 interface 설정 방법 (복수의 ip-address 설정)
# ifconfig eri0 addif 10.1.1.10 up
# ifconfig eri0 addif 10.1.1.11 up

11) 가상 interface 제거 방법
# ifconfig eri0:1 unplumb
또는
# ifconfig eri0 removeif 10.1.1.11

12) booting 시 자동으로 가상 Interface 설정 방법
# vi /etc/hostname.eri0
sun60 up
addif 10.1.1.1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 up
addif 10.1.1.2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 up
# init 6

from  http://serings.tistory.com/79

+ Recent posts